"


사진출처 : http://www.pilzbestimmer.de/Detailed/33406.html
"
| 분류 | 담자균문(Basidiomycota) > 담자균아문(Agaricomycotina) > 주름버섯강(Agaricomycetes) > 주름버섯목(Agaricales) | 
|---|---|
| 학명 | Amanita flavescens (Gilb. & Lund.) Contu | 
| 과명 | 광대섯과(Amanitaceae) | 
| 속명 | 광대버섯속(Amanita) | 
| 특징 | 소형~중형 황색의 오렌지색에서 황색의 변함, 주름살은 백색, 장자리는 강하게 아래로 말림 | 
| 자실체 | 갓은 4~8cm, 처음 종모양에서 둥근산모양으로 된다. 표면은 황색의 오렌지색에서 황색으로 된다. 가장자리는 강하게 아래로 말린다. 주름살끝붙은주름살로 백색이다. 대는 11~15.5cm, 굵기는 9.5~18.5mm로 가늘고 상하가 같은 굵기이고 오래되면 위쪽은 약간 백색으로 된다. 대주머니는 백색이고 조각 같은 막질이다. 살은 백색이고 부서지기 쉽다. | 
| 포자 | 포자는 구형, 평활, 투명. 9~12㎛ | 
| 색상 | 오렌지색에서 황색 | 
| 발생계절 | 여름~가을 | 
| 발생형태 | 여름~가을 숲속의 땅에 단생·군생 | 
| 분포 | 한국(백두산), 중국 | 
| 식용여부 | 식독불명 | 
| 출전, 인용문헌 | 이태수. 2016. 식용·약용·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.  233pp. (재)한택식물원 이태수. 2016. 인터넷. 한국의버섯(www.koreamushroom.kr) 조덕현. 2014. 백두산의 버섯도감①. 637pp. 한국학술정보 | 
"


사진출처 : http://www.pilzbestimmer.de/Detailed/33406.html
"
|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: 2cm 이하. 소형: 2∼5(6)cm 정도. 중형: 5∼10(11)cm 정도. 대형: 10∼15(16)cm 정도. 거대형: 15cm 이상. | 
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 
				
							